24년 역대급 이익으로 성과급, 배당 잔치한 SK하이닉스(000660)
SK하이닉스 기업 개요
SK하이닉스 (SK hynix Inc.)는 대한민국의 글로벌 반도체 제조 기업으로 경기도 이천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, 글로벌 시장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기업이다. 주로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 제품을 설계, 제조 및 판매합니다. SK하이닉스는 세계적인 메모리 반도체 제조업체로, D램(DRAM), 플래시 메모리(NAND), CMOS 이미지 센서 등을 주요 제품으로 취급하고 있습니다.
기업 비전
- SK하이닉스는 고객 중심 혁신, 기술 선도,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반도체 기술의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.
주요 제품
- D램(DRAM): 컴퓨터, 스마트폰, 서버, 게임 콘솔 등에서 사용하는 주요 메모리 제품
- NAND 플래시 메모리: 스마트폰, SSD, USB 드라이브 등 저장 장치에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
- CMOS 이미지 센서: 스마트폰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센서 시장에서 활동
최근 연혁
- 2020년
- SK하이닉스, 인텔 NAND 사업 인수: SK하이닉스는 2020년 10월, 인텔의 NAND 사업 부문을 약 9조 7,000억 원에 인수하며 NAND 플래시 메모리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했습니다.
- 글로벌 수급 불안정: 반도체 부족 현상이 지속되며, SK하이닉스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 능력을 확대하고,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갔습니다.
- 2021년
- 실적 성장: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라 좋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. 특히, D램과 NAND 플래시 메모리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며, 회사는 매출과 이익 모두 상승세를 보였습니다.
- 차세대 반도체 기술 개발: SK하이닉스는 차세대 반도체 기술 개발에 주력하며, AI 반도체, 5G 관련 반도체, 차세대 NAND 기술 등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.
- 2022년
- 차세대 반도체 개발을 위한 대규모 투자: SK하이닉스는 2022년 5월, 차세대 반도체 기술 개발을 위한 10조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. 이를 통해 반도체 생산 시설의 확장과 기술 혁신을 추진할 계획이었습니다.
-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경쟁 심화: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면서, SK하이닉스는 시장 점유율 확대와 비용 효율성 강화에 집중했습니다.
- 2023년
- AI와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반도체 수요 증가: AI, 5G, 자율주행차 등 첨단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, SK하이닉스는 고성능 메모리와 AI 특화 반도체 개발에 투자하며, 이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
- 고객 맞춤형 메모리 솔루션 제공: SK하이닉스는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맞춰 고객 맞춤형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, 이를 통해 매출 성장을 이어갔습니다.
- 2024년
- 차세대 반도체 기술 혁신 및 시장 확장: SK하이닉스는 2024년에도 반도체 시장의 리더로서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시장 확장
- 지속 가능한 경영: ESG(환경, 사회, 지배구조) 경영에 대한 투자도 지속하며, 친환경 반도체 개발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경영을 25년도까지 이어갈 것입니다.
최근 5년간 재무 성과 & 투자지표
기준연도 | 매출액(억원) | 영업이익(억원) | 영업이익율(%) |
2020/12 | 319,004.2 | 50,126.2 | 15.7 |
2021/12 | 429,977.9 | 124,103.4 | 28.9 |
2022/12 | 446,215.7 | 68,094.2 | 15.3 |
2023/12 | 327,657.2 | -77,303.1 | -23.6 |
2024/12 | 661,929.6 | 234,673.2 | 35.5 |
- 매출액: 2024년 예상 매출액은 661,929.6억원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, 이는 전년 대비 102% 증가한 수치입니다.
- 영업이익: 2023년에는 영업이익이 적자였으나, 2024년에는 큰 폭으로 회복되어 234,673.2억원이 예상됩니다.
- 영업이익률: 2023년에는 영업이익률이 -23.6%로 적자였으나, 2024년에는 영업이익률이 35.5%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연도 | ESP(원) | BPS (원) | CPS (원) | SPS (원) | DPS (원) |
2020/12 | 6,532 | 75,860 | 16,916 | 43,819 | 1,170 |
2021/12 | 13,190 | 90,394 | 27,194 | 59,063 | 1,540 |
2022/12 | 3,063 | 92,004 | 20,303 | 61,293 | 1,200 |
2023/12 | -12,517 | 77,752 | 5,877 | 45,008 | 1,200 |
2024/12 | 27,182 | 107,256 | 40,928 | 90,924 | 2,204 |
* EPS (주당순이익): 20년 6,532원에서 21년 13,190원으로 증가했다가 22년에 급락하여 3,063원으로 떨어졌고, 23년에는 -12,517원으로 적자를 기록하며 부진했으나, 2024년에는 다시 27,182원으로 큰 폭으로 반등했다.
* BPS (주당순자산가치): PS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. 2020년 75,860원에서 2024년 107,256원으로 상승했으며, 이는 회사가 자산을 증가시키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.
연도 | PER(배) | PBR (배) | PCR (배) | PSR (배) | 현금배당수익률(%) |
2020/12 | 18.14 | 1.56 | 7.01 | 2.70 | 0.99 |
2021/12 | 9.93 | 1.45 | 4.82 | 2.22 | 1.18 |
2022/12 | 24.49 | 0.82 | 3.69 | 1.22 | 1.60 |
2023/12 | N/A | 1.82 | 24.08 | 3.14 | 0.85 |
2024/12 | 6.40 | 1.62 | 4.25 | 1.91 | 1.27 |
** PER의 하락은 주가 대비 기업의 이익 수준이 좋아졌다는 것을 의미이고, 특히 2024년 PER이 6.40배로 낮아진 점은, 시장에서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
** PBR이 1배 이하로 떨어진 2022년은 주가가 회사 자산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음을 의미하며, 이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일 수 있습니다. 이후 PBR이 증가한 것은 자산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주가가 조금 더 비싸졌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.
향후 주요 전략
- AI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 집중한 고성능 메모리 제품 개발
- 차세대 메모리 기술 개발 및 고급 반도체 제품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
-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확장 및 자동화 추진으로 생산 효율성 제고
- 지속 가능한 기술 개발과 친환경 제품을 위한 투자 확대
이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SK하이닉스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
'국내주식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주식] 차세대 EV용 배터리의 선두주자 - LG에너지솔루션 (373220) (2) | 2025.03.20 |
---|---|
[주식] 우리나라 시총1위 기업 - 삼성전자(005930) 기업분석과 뉴스 정보 (2) | 2025.03.17 |